생활경제
고환율에 2월 49.1억弗↓.."예금 쑥 줄었다"
기사입력 2025-04-01 14:30
거주자외화예금은 내국인과 국내 기업, 6개월 이상 국내에 거주한 외국인, 그리고 국내에 진출한 외국 기업 등이 보유한 외화예금을 포함한 것으로, 주로 기업들의 외화 자금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2월 말 기준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통화는 미 달러화로, 전체 예금 중 85.8%를 차지했다. 이 미 달러화 예금은 37억 9000만 달러 감소하며 전월 말 1023억 2000만 달러에서 985억 3000만 달러로 줄어들었다.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원화 환전 유인이 커진 영향이 크다. 1월 말 1452.7원이었던 원·달러 환율은 2월 말 1463.4원으로 상승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이 예비 자금을 달러화로 보유한 후, 차익을 실현하기 위해 환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한편, 엔화 예금은 2월 말 77억 6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5억 3000만 달러 감소했다. 이는 원·엔 환율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으로 풀이된다. 원·엔 환율은 1월 말 939.0엔에서 2월 말 975.4엔으로 상승하면서 엔화 예금이 줄어들었다. 유로화 예금은 41억 6000만 달러로 2억 9000만 달러 감소했으며, 위안화 예금은 9억 5000만 달러로 2억 1000만 달러 감소했다. 유로화 예금의 감소는 증권사와 대기업들의 현물환 순매도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그 외 영국 파운드화와 호주 달러화 등 기타 통화는 11억 4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9000만 달러 감소했다.
예금 주체별로 보면, 2월 말 기준 기업 예금이 846억 2000만 달러로 전체 예금의 85.9%를 차지했다. 기업 예금은 전월 대비 45억 8000만 달러 줄어들었으며, 개인 예금은 139억 1000만 달러로 3억 3000만 달러 감소했다. 기업 예금의 비중이 매우 높은 이유는 대기업들이 예비 자금을 외화 예금으로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 예금의 비중은 14.1%에 불과하다. 또한, 은행별로 보면, 국내 은행의 거주자외화예금 잔액은 847억 4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38억 7000만 달러 줄어들었으며, 외국은행 지점은 137억 9000만 달러로 10억 4000만 달러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이 예비 자금 확보를 위해 달러화 예금을 보유하던 경향이 있었으나, 2월 들어 차익 실현이 일어나면서 외화예금이 감소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환율 상승과 기업들의 경영 전략에 따라 외화예금의 변동성이 클 수 있으며, 향후 예금 감소세가 지속될지 여부는 기업들의 내부 사정과 경영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한국은행은 "3월의 경우 지난해 동기 대비 10억 달러 정도 감소했지만, 기업들의 여건에 따라 외화예금 감소세가 계속될지 확실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며 "환율 변동 외에도 기업들의 경영 전략이나 국제 경제 여건에 따라 예금 변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업들의 반응을 계속해서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